31/1/2018
이벤트 기반의 이해
첵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구축” 을 살펴보던 중 이벤트 기반(Event Driven)에 대해서 언급이 나왔다. 읽기만 해서는 이해가 되지 않아 코드를 작성해보았다. 물론 아직도 이해가 잘 안된다.
오케스트레이션(Orchestration)
중앙에서 이벤트를 모두 관리 및 처리
class Customrer():
def __init__(self, name, address, email):
self.name = name
self.address = address
self.email = email
class CustomerService():
def signup(self, customrer):
BankService().create_account(customrer)
MailService().send(customrer.email)
PostService().send(customrer.address)
class BankService():
def create_account(self, customrer):
print("Service Name: %s, Customrer Name: %s" %(self.__class__.__name__, customrer.name))
class MailService():
def send(self, to):
print("Service Name: %s, To: %s" % (self.__class__.__name__, to))
class PostService():
def send(self, to):
print("Service Name: %s, Address: %s" % (self.__class__.__name__, to))
if __name__ == '__main__':
customer = Customrer(name='SELO', address='Seoul, Korea', email='rochan87@gmail.com')
CustomerService().signup(customer)
코레오그래피(Choreography)
발행/구독 패턴을 통한 느슨한 결합
class Customrer():
def __init__(self, name, address, email):
self.name = name
self.address = address
self.email = email
EventBook = {
'main_event': {
'events': ['dependent_event', ],
}
}
def register_event(pub_event_name, sub_event):
try:
pub_event = EventBook[pub_event]
pub_event.append(sub_event)
except KeyError:
EventBook[pub_event] = [sub_event]
def pub(event_name):
def add(func):
def __wrapper(*args, **kwargs):
_r = func(*args, **kwargs)
sub_events = EventBook[event_name]
for sub_event in sub_events:
sub_event(*args, **kwargs)
return _r
if event_name not in EventBook:
EventBook[event_name] = []
return __wrapper
return add
def sub(event_name):
def register(func):
def __wrapper(*args, **kwargs):
return func(*args, **kwargs)
if event_name not in EventBook:
EventBook[event_name] = []
EventBook[event_name].append(__wrapper)
return __wrapper
return register
SIGNUP = 'signup'
UPDATE = 'update'
class CustomerService:
@pub(SIGNUP)
def signup(self, customrer):
print("SignUp\n")
@pub(UPDATE)
def update(self, customrer):
print("Update\n")
class BankService:
@sub(SIGNUP)
def create_account(self, customrer):
print("Service Name: %s, Customrer Name: %s" %(self.__class__.__name__, customrer.name))
class MailService:
@sub(SIGNUP)
@sub(UPDATE)
def send(self, customrer):
print("Service Name: %s, To: %s" % (self.__class__.__name__, customrer.email))
class PostService:
@sub(SIGNUP)
def send(self, customrer):
print("Service Name: %s, Address: %s" % (self.__class__.__name__, customrer.address))
if __name__ == '__main__':
customer = Customrer(name='SELO', address='Seoul, Korea', email='rochan87@gmail.com')
CustomerService().signup(customer)
CustomerService().update(customer)
MSA
MicroserviceArchitecture
EventDriven
25/1/2018
Dynamically import django settings for multiple environment such as local, dev, beta, production
장고 개발을 하다보면 각 환경을 구분하고, 이에 따라 변경되야 하는 부분들이 존재한다. 예를들면 임포트 되어야하는 미들웨어 혹은 장고 어플리케이션들, 데이터베이스 연결정보 등이 달라진다. 이럴때 각 환경에 따라 코드를 수정하는 작업은 해서는 안되는 작업이며, 언젠가 한번쯤 실수를 할것이고, 비명을 지르게될것이다. “꺄야양야야야야야 ㅅㅂ”
“어떻게 환경을 인식을 할 것인가?”
어플리케이션이 작동하는 환경을 나누어 보자. 아래처럼 환경을 구분하는 것이 정답은 아니며, 개발프로세스나 회사 업무에 따라 다를것이다.
local
: 개발자 개인PC
development
: 사내 네트워크 망에서 공유되는 서버를 통해 작동하는 어플리케이션 환경
staing
: 외부 네트워크 망에서 작동하는 서버에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환경. 릴리즈 전 1차 외부 테스트 환경.
beta
: staging
과 동일하지만 production
과 최대한 일치되는 환경으로 production
릴리즈 이전에 최종테스트가 일어나는 환경.
production
: 어플리케이션이 실제 서비스 되는 환경.
위와 같이 다양한 환경에서 동일한 코드베이스의 장고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게 되며, 각 환경에서 로드되어야하는 모듈이나 설정정보들이 다를것이다. 이렇게 다른점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현재 어플리케이션이 작동하는 환경이 production
인지 local
인지 인식을 해야한다.
현재 작동하는 환경을 인식하기 위한 방법은 다양하지만, 필자가 가장 선호하는 방법은 환경변수 셋팅이다.
export SELO_ENV=local
TIP) 개인 개발PC .bash_profile
와 같은 쉘 부트스트래핑 파일에 구문을 추가해 놓으면 편하다.
import os
CURRENT_APP_ENV = os.getenv('SELO_ENV')
“각 환경별 설정 모듈화 및 디렉토리 구조잡기”
유연하며, 명시적인 구조를 만들어보자. “Here we go. Let’s get it. Put your hands up!!!”
시작이 반: 장고 프로젝트 초기 구조
$ tree
.
|____bar
| |______init__.py
| |____settings.py
| |____urls.py
| |____wsgi.py
|____manage.py
버전 1.11
기준 장고의 프로젝트를 처음 생성하면 위와 같은 디렉토리 구조로 프로젝트가 생성된다. 아주 심플하다. 구조화 없이 프로젝트가 진행되다보면 알아보기 무서운 “괴물“이 될수있다.
결과물: 아주 이쁘게 모듈화된 최종 구조
먼저 우리가 갖게 될 최종 구조를 훓어보고 큰 그림을 그려보자. 최종구조는 다음과 같다.
$ tree
.
|____meta
| |______init__.py
| |____unittest.py
| |____ckeditor.py
| |____ ...
|______init__.py
|____default.py
|____development.py
|____staging.py
|____beta.py
|____prod.py
“설명이 필요없는 한눈에 이해되는 명확한 구조가 아닌가!! 아름답다!! 나만 그런가…?!!”
위 최종구조에서 각 모듈(파일)의 역활을 정리해보자.
settings/default.py
: 환경에 상관없는 공통적인 설정을 작성한다.
- 기본 앱. e.g)
'django.contrib.admin'
, 'django.contrib.auth'
- 공통 미들웨어
TIMEZONE
등 서비스에서 통용되는 상수
settings/<env_name>.py
: prod.py
와 같이 각 환경에 의존적인 설정을 작성한다. <env_name>.py
.
- 개발환경에서의 디버깅 툴. e.g) Django Debug Toolbar
- 데이터베이스 커넥션 정보
- 환경별 미들웨어. e.g) 베타유저 인증 미들웨어
TOKEN
과 같은 환경별 상수
- 모니터링 툴. e.g)
NewRelic
settings/meta/<*.py>
: meta
폴더 하위에는 특정 라이브러리의 설정이나 특별한 실행 환경에서 실행되는 설정에 대한 부분을 작성한다.
$ python manage.py test
처럼 테스트 실행과 같은 특별한 환경에서 필요한 설정 혹은 라이브러리 monkey patch
와 같은 작업을 진행한다.
- 많은 라인(15줄 이상)의 설정이 필요한 라이브러리(
django-ckeditor
등). settings/meta/ckeditor.py
default.py
가 읽기 힘들정도로 길어질 때 모듈로 분리해야하는 경우
Import: 즐거운 코딩하는 시간
manage.py
...
os.environ.setdefault("DJANGO_SETTINGS_MODULE", "foo.settings.default")
...
foo/settings/default.py
환경변수를 읽어, 셋팅을 동적으로 로드하자.
import os
try:
SELO_ENV = os.environ['SELO_ENV']
except KeyError:
print "SELO_ENV must be set to OS Variable."
exit(1)
if SELO_ENV == 'development':
from foo.settings.development import *
elif SELO_ENV == 'staging':
from foo.settings.staging import *
elif SELO_ENV == 'beta':
from foo.settings.beta import *
elif SELO_ENV == 'prod':
from foo.settings.beta import *
else:
print "Given Value is %s. It's invalid environment name." % SELO_ENV
exit(1)
코드가 드럽다. 안이쁘다. 구려보인다. 이쁘게 바꿔보자. 코드는 역시 외모지상주의!!
try:
SELO_ENV = os.environ['SELO_ENV']
except KeyError:
print "SELO_ENV must be set to OS Variable."
exit(1)
def import_module_asterisk(module_name):
module = __import__(module_name, globals=globals(), fromlist=['*'])
for v in dir(module):
if v in {'__name__', '__builtins__', '__doc__', '__file__', '__package__'}:
continue
globals()[v] = getattr(module, v)
try:
import_module_asterisk(SELO_ENV)
except ImportError:
print "Given Value is %s. It's invalid environment name." % SELO_ENV
exit(1)
else:
print("Successfully Loaded %s settings." % SELO_ENV)
위 코드를 간단히 설명하겠다. __import__
는 빌트인 함수이며, 동적으로 모듈을 임포트할 수 있게해준다. 즉, 오직 실행환경에서만 임포트 대상을 알 수 있는 경우 사용한다. 코드로 풀어서 설명하자면, __import__('development', fromlist=['*'])
는 from development import *
와 동등한 기능을 수행한다. 결론적으로 development.py
모듈의 네임스페이스를 통째로 임포트한다. 설명은 파이썬2 기준이며, 파이썬3에서는 사용해보지 않았다.
정리
필자가 참여한 장고 프로젝트에는 신규 프로젝트도 있었고, 몇 년동안 개발 운영 되고 있는 서비스도 있었다. 프로젝트에서 이러한 환경에 따른 설정은 매우 치명적인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기능개발에 집중하다보면 간과되는 경우가 많다.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면 다행이지만… 최근에 오픈한 모바일게임 듀랑고 클라이언트에서 서버 로그가 출력되는 안타까운 문제가 발생했고, 논란의 중심에 있다. 듀랑고 사태의 정확한 맥락은 알수 없지만 기본을 간과하는 순간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것 같다.
같은 맥락으로 이어서 말하자면 코드를 공유하는 개발자들 사이에서 설정을 변경 후 푸쉬하는 경우로 문제가 발생했던 적이 몇 번 있었다. 특히, 디비커넥션 정보, 디버거 임포트 등과 같이 개발중인 기능에 의존적인 설정들이 예가 될 것이다. 위 방식과 구조를 취한다면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PS. 언젠가 정리해야지 막연히 생각하던걸 새로운 회사에서 또 한번(ㅠ?) 장고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됬고, 이 참에 정리했다… 개운하구만!! 그럼 이만 뿅!!
오타나 잘못된 부분에 대한 언급은 언제나 감사드립니다.
Reference
python
django
pythonic
22/1/2018
Python 함수 내부에서의 Null Validation 혹은 검증 로직에 대한 생각
def handle(data=None):
"""
:param data: user's information, the type is dict
:return: user's info added connection history
"""
if data is None:
return {}
...
return data
위와 같이 handle
함수에서 None
확인은 적절한 것일까요?
결론 부터 말하자면 “NO” 입니다. 함수내부에서 파라미터 의 검사를 하는것이 틀린 방법은 아닙니다. 하지만 부득이한 경우가 아니라면 함수에 정상적인 값이 들어온다는 전제하에 함수를 작성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위와 같은 코드의 단점은 무엇일까요?
- 함수 호출시 항상
None
체크 로직을 통과하게 된다.
- 함수에는 일반적으로 대부분 정상적인 데이터가 들어오고, 아주 드물게 잘못된 데이터가 전달될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렇다면 매개변수의 검증은 호출하는 쪽에서 다루는게 맞을것입니다. 만약 항상 매개변수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면, 함수에 포함시키는 것보다는
decorator
로 분리하거나, 검증 함수를 두는 것이 좋은 방법이 될수있습니다.
- 함수의 목적이 희석되다.
- 일반적으로 함수가 단일 목적을 갖고 작성되면, 수많은 장점을 얻게 됩니다.
- 함수가 수행하려는 목적에 맞는 코드만 존재함으로서 처리 로직에 집중할 수 있게됩니다.
- 가독성 향상. 무엇보다 코드가 날씬하고 이뻐집니다. 데헷. (
파이썬 코드는 언제나 이뻐야한다!!!)
- 검증 로직의 추가가 필요하다면?
- 해당 함수를 호출하는 곳이 많아지고, 매개변수 종류가 다양해 짐에 따라 검증로직을 계속 추가할수 없습니다.
- 결국 특정 매개변수의 검증은 호출하는 곳에서 이루어 지는것이 좋은 경우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말하는 함수에서의 Null Validation
과 같은 검증 로직에 대한 생각을 간단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위 내용이 정답은 아니지만 코드 작성시 자주 접하는 고민 사항임으로 같이 생각해보고 싶어서 글을 쓰게되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합니다^^.
python
pep
pythonic
convention
21/1/2018
50줄로 만들어 보는 tiny 블록체인
Blockchain
비트코인이나 암호화폐의 트랜잭션을 공개적이며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디지털 분산 원장 입니다. - Google Search
보다 일반적으로 설명하자면, 블록체인은 새로운 데이터가 블록이라는 컨테이너에 저장되고, 이전 블록과 체인으로 연결된 변경불가능한 공용 데이터베이스입니다. 비트코인이나 다른 암호화폐에서 이러한 데이터는 트랜젝션(거래)의 묶음 이지만, 다른 타입의 데이터가 될 수도 있습니다.
블록체인 기술은 비트코인 그리고 라이트코인과 같이 중앙기관에서 통제되지 않는 디지털 화폐를 탄생시켰습니다. 블록체인은 오늘날 금융시스템이 사기 또는 실폐의 대상이라고 믿는 개인에게 새로운 자유를 가져다 줍니다. 또한, 블록체인은 스마트 계약과 같은 흥미로운 개념을 도입한 이더리움과 같은 분산 컴퓨팅 기술을 혁신시켰습니다.
먼저 블록이 무엇인지 정의해봅시다. 블록체인에서 각 블록은 타임스탬프 와 인덱스를 저장합니다. 각 블록은 무결성을 위한 자체 해시를 갖습니다. 비트코인과 같이 각 블록의 해시는 블록의 인덱스, 타임 스탬프, 데이터 및 이전 블록 해시를 암호화 하는 해시입니다.
import hashlib
class Block:
def __init__(self, idx, ts, data, pre_hash):
self.idx = idx
self.ts = ts
self.data = data
self.pre_hash = pre_has
self.hash = self.hash_block()
def hash_block(self):
sha256 = hashlib.sha256():
sha256.update(
str(self.idx) +
str(self.ts) +
str(self.data) +
str(self.pre_hash)
)
return sha256.hexdigest()
멋지네요! 블록체인 자료구조를 만들었고, 블록체인을 만들것이며, 실제 체인에 블록을 추가해야 합니다. 앞에서 말했듯이, 각 블록체인은 이전 블록의 정보가 필요합니다. 그런데
첫 번째 블록에는 어떻게 이전 블록의 정보를 담을 수 있을까요?
첫번째 블록은 특별하며, 이는 Genesis Block
라고 부릅니다. 대부분 Genesis Block
은 수동으로 추가되거나, 추가되게 하는 고유한 로직을 갖습니다.
우리는 Genesis Block
을 반환하는 함수를 만들 것이며, Genesis Block
은 인덱스 0, 임의의 데이터, 임의의 이전 블럭 해시 값을 갖습니다.
from datetime import datetime
def create_genesis_block():
return Block(0, datetime.utcnow(), "Genesis Block", "0")
이제 우리는 Genesis Block
을 만들 수 있게 되었으므로, 후속 블록들을 생성하는 함수가 필요합니다. 이 함수는 블록체인의 이전 블록을 매개변수로 받고, 생성될 블록에 필요한 데이터를 만든 후 알맞는 데이터와 함께 블록을 반환합니다. 새로운 블록이 이전 블록 정보를 해시할때, 새로운 블록과 블록체인의 무결성은 증가합니다. 이러한 작업이 없다면, 외부자가 과거의 정보를 바꾸거나 그들 소유의 새로운 정보로 이전의 블록체인을 위변하기 쉬워 집니다. 이러한 해시 체인은 암호화 증명을 수행하고, 블록체인에 블록이 추가될때 블록이 교체되거나 제거 되는 것을 보증합니다.
from datetime import datetime
def next_block(pre_block):
idx = pre_block.idx + 1
ts = datetime.utcnow()
data = "Hey! I'm %d block " % idx
hash_ = pre_block.hash
return block(idx, ts, data, hash_)
이제 우리의 블록체인을 만들수 있습니다. 여기서 블록체인은 파이썬 리스트 입니다. 리스트의 첫번째 요소는 Genesis Block
이며, 후속 블록 추가가 필요합니다. for loop
을 사용하여 20개의 새로운 블록을 추가해 봅시다.
blockchain = [create_genesis_block()]
pre_block = blockchain[0]
num_of_blocks_to_add = 20
for _ in range(0, num_of_blocks_to_add):
block_to_add = create_next_block(pre_block)
blockchain.append(block_to_add)
pre_block = block_to_add
print("Block #{} has been added to the blockchain!".format(block_to_add.idx))
print("Hash: {}\n".format(block_to_add.hash))
우리가 지금까지 만들 것을 테스트 해 봅시다.
$ python blockchain.py
Block #1 has been added to the blockchain!
Hash: efb894d339ab1e272641676758e1a5b5cbc5b82fd3c069c98a7d7338f8aa5944
Block #2 has been added to the blockchain!
Hash: 1d49888f46aafeaeb56738f115b0572592089316895736f43e254c7906bf6a50
Block #3 has been added to the blockchain!
Hash: b20b257dbd350c2097ebcfca70e7890c6552b79857e6306b3d549576d833e2fa
...(중략)
Block #19 has been added to the blockchain!
Hash: 11643f989f71121cdba4a9cc180890da75bd875505f736119cf6a32e81a9dba2
Block #20 has been added to the blockchain!
Hash: 43380ce50d045f4f30d126ff3a50ee3b1d4d039c7c55c4c9305ea165c48392fa
블록체인이 작동합니다! 더 많은 정보를 콘솔에 확인해보고 싶다면, 완성된 코드 를 수정하고 출력해보세요.
우리의 블록체인을 실제 상용 블로체인들 처럼 확장하기 위해서는 서버 계층과 같은 기능들을 추가해야만 합니다. 이는 체인의 변경 사항을 추적하고, 한정된 시간에서 추가될 블록의 수를 제한하는 작업증명 역할을 합니다.
기술적으로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Bitcoin Whitepaper 를 참고하세요.
blockchain
bitcoin
cryptocurrency
python
16/1/2018
Understanding decorator and closer on the Python
def deco1(deco_args, ):
print('deco1 s')
def deco1_inner(func):
print('deco1_inner s')
def wrapper(*args):
print('deco1.wrapper')
print('deco_args: ', deco_args)
return func(*args)
print('deco1_inner e')
return wrapper
print('deco1 e')
return deco1_inner
def deco2(func):
print('deco2 s')
def wrapper(*args):
print('deco2.wrapper')
return func(*args)
print('deco2 e')
return wrapper
@deco2
@deco1(['name', 'age', 'sex'])
def origin_func(*args):
print('origin_func s')
print('origin_func args:', args)
print('origin_func e')
if __name__ == '__main__':
origin_func(*['hello', 'selo'])
decorator
closer
python
16/1/2018
PEP8 Main Concept
Introduction
This document gives coding conventions for the Python code comprising the standard library in the main Python distribution.
이 문서는 파이썬 배포판 표준 라이브러리를 구성하는 파이썬 코드의 코딩 컨벤션을 제공합니다.
This style guide evolves over time as additional conventions are identified and past conventions are rendered obsolete by changes in the language itself.
이 스타일 가이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전합니다. 추가적인 컨벤션이 명시되거나 언어의 변화로 과거 컨벤션이 필요없을 때 갱신됩니다.
Many projects have their own coding style guidelines. In the event of any conflicts, such project-specific guides take precedence for that project.
A Foolish Consistency is the Hobgoblin of Little Minds
One of Guido’s key insights is that code is read much more often than it is written. The guidelines provided here are intended to improve the readability of code and make it consistent across the wide spectrum of Python code. As PEP 20(Zen of Python) says, “Readability counts.”
One of Guido’s key insights is that code is read much more often than it is written. “우리는 코드를 작성하기보다는 훨씬 더 많이 읽는다.” by Guido
A style guide is about consistency. Consistency with this style guide is important. Consistency within a project is more important. Consistency within one module or function is the most important.
However, know when to be inconsistent — sometimes style guide recommendations just aren’t applicable. When in doubt, use your best judgment. Look at other examples and decide what looks best. And don’t hesitate to ask!
python
pep
pythonic
coding convention